내용요약 2023년 신사업 비중 10.5%로 확대…신사업본부로 재편
Eco사업부문, 그린사업본부로 명칭 변경…매출액 비중 1년 새 43%↑
GS건설 사옥 그랑서울. (사진=GS건설)
GS건설 사옥 그랑서울. (사진=GS건설)

[한스경제=문용균 기자] GS건설의 매출액 가운데 신사업과 그린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경기 악화와 원가 상승으로 건설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GS건설의 사업 다각화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GS건설이 지난 21일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은 13조436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매출액(12조2991억원)보다 9.2%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매출액을 사업본부별로 보면 건축·주택본부가 10조2371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76%를 책임졌다. 그 다음은 1조414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한 신사업본부가 차지했다. 전체 매출액 가운데 비중이 10.53%다. 지난 2022년 말 기준 당시 신사업부문의 매출액은 1조255억원이었다. GS건설 총 매출액 대비 비중도 8.34%에 그쳤다.

GS건설은 지난해 연말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의 부문과 본부로 편제돼 있던 조직을 본부와 그룹으로 변경했다. 세부적으로 6부문 9본부 체제에서 10본부 10그룹 체제가 됐다. 부문 체제 본부 체제로 변경한 건 내부 소통과 의사결정 대응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결정이다.

기존 허윤홍 미래혁신대표(CInOㆍChief Innovation Officer)가 이끌던 신사업부문은 별도의 사업본부로 재편됐다. Eco사업부문 역시 그린사업본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사업 포트폴리오 명확화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GS건설에 따르면 신사업본부엔 모듈러주택, 수처리 운영 등이 속한다. 지난해 자회사인 수처리 업체 GS이니마는 아랍에미리트(UAE) 슈웨이하트 4단계 해수담수화 사업(7810억원)을 수주한 바 있다. 

모듈러주택은 현장에서 완성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건설 방식과 달리 공장에서 주택 모듈을 제작한 뒤 현장으로 운송해 조립하는 산업으로 건설업과 제조업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모듈러주택 사업은 2020년 해외 모듈러 주택 회사들을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았다. 지난해 6월엔 GS건설이 인수한 자회사 엘리먼츠 유럽이 영국 최대 규모 모듈러 임대주택 사업 시공 계약을 수주하기도 했다. 

외형 성장 뿐 아니라 신사업본부는 지난해 121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수익성도 좋아지고 있다. 2022년도 영업이익은 178억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신사업 부문 영업이익은 건축·주택, 플랜트, 인프라 분야 모두 영업 손실을 기록하며 더 돋보이고 있다. 

신사업본부와 함께 그린사업본부도 약진했다. 2022년까지 전체 매출액에서 이 사업본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1.41%였으나 지난해엔 2.02%로 비중이 43%나 확대됐다. 매출액도 2022년 1731억원에서 지난해 2717억원으로 상승했다. 

GS건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그린사업본부는 환경사업을 영위한다. 폐기물 처리 사업, 클린에너지사업 등이 포함된다. 클린에너지사업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분산형 전력생산시설의 개발 및 운영사업과 생산된 전력을 송배전하는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신사업본부와 그린사업본부의 성장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GS건설은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 지분 매각 대상을 경영권을 제외한 소수지분으로 확정했다. 신사업의 큰 축을 놓치지 않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그간  주택사업 비중을 키우는데 큰 역할을 한 임병용 부회장이 일선에서 물러났다는 점도 주택 외에 다른 분야의 성장을 예상하는 이유다. 

GS건설은 허창수 회장 장남인 허윤홍 사장의 승계를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 2월 허 회장의 주식 200만 주를 증여받아 GS건설 2대 주주에 오른 허윤홍 사장은 지난해 10월 GS건설 CEO로 선임됐다. 허윤홍 사장은 2013년부터 미래혁신대표를 맡아 모듈러, 수처리 등 고부가가치 신사업 전략을 주도해왔으며 연구개발(R&D) 인력 300명이 상주할 서초구 소재 사옥의 리모델링을 추진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안목의 R&D 및 신사업 투자가 강화될 전망이다.

문용균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